맨위로가기

지방도 제1132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방도 제1132호선은 제주특별자치도에 있는 지방도이다. 1971년 국도 제12호선 제주우회선으로 지정되었고, 1990년 일주도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7년 지방도 제1132호선 제주제1우회선 (일주도로) 노선으로 지정되었으며, 2008년 국도 제12호선이 폐지되었다. 제주시 이도동에서 시작하여 서귀포시 대정읍까지 이어진다. 제주시 구간은 동광로, 일주동로, 조천우회로 등으로, 서귀포시 구간은 일주동로, 일주서로 등으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폐지된 일반 국도 - 지방도 제1136호선
    제주특별자치도의 지방도 제1136호선은 제주시 아라동 아라초등학교 앞 교차로를 기점 및 종점으로 하는 순환 지방도로, 과거 국도 제16호선에서 격하되었으며, 중산간도로, 아봉로, 노형로 등의 도로명을 포함하고, 제주시와 서귀포시의 읍면 및 도심 지역을 연결하며 국가지원지방도 제97호선 등과 중복 구간을 가진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일반 국도 - 지방도 제1131호선
    지방도 제1131호선은 서귀포시 남원읍에서 제주시 애월읍까지 이어지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주요 도로로, 과거 국도 제12호선의 일부였으며 김영관 제주도지사 주도로 확장 및 정비되어 1969년 개통되었고, 2008년 국도에서 지방도로 변경되어 현재는 통행료 없이 운영되며 지역 경제와 관광에 기여하고 있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도로 - 국가지원지방도 제9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7호선 번영로는 서귀포시 표선면에서 제주시 건입동을 잇는 도로로, 제주목사 행차길에서 유래하여 지방도를 거쳐 국가지원지방도로 승격되었고, 제주시와 동부 지역을 연결하는 주요 간선도로이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도로 - 한림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의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한림로는 지방도 제1132호선 및 여러 도로와 교차하며, 주변에 다양한 편의시설, 교육기관, 공공기관이 위치한다.
  • 2008년 폐지 - 대한민국 재정경제부
    대한민국 재정경제부는 1998년 재정경제원을 개편하여 신설된 중앙행정기관으로, 부총리급 장관이 대한민국 경제 정책을 총괄했으며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을 산하 외청으로 두었다.
  • 2008년 폐지 - 국민중심당
    국민중심당은 2006년 자유민주연합 탈당파 의원들이 심대평, 신국환 공동대표 체제로 창당한 중도 정당으로, 중도 노선을 표방했으나 저조한 선거 성적과 후보 사퇴 등의 어려움 끝에 2008년 자유선진당과 합당하여 해산되었다.
지방도 제1132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도로 정보
도로 종류제주특별자치도 지방도
노선 종류제1우회도로 (일주도로)
노선 번호지방도 제1132호선
총 연장176.07km
기점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도동
주요 경유지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종점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도동
주요 교차 도로국가지원지방도 제97호선
지방도 제1112호선
지방도 제1116호선
지방도 제1118호선
지방도 제1119호선
지방도 제1120호선
지방도 제1121호선
지방도 제1122호선
지방도 제1131호선
지방도 제1135호선
지방도 제1136호선
지방도 제1139호선
폐지된 국도 정보
도로 종류일반 국도
노선명제주 제1우회선 (폐지)
노선 번호국도 제12호선
총 연장176.0 km
기점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주요 경유지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종점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2. 역사

1971년 8월 31일,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12호선''' 제주우회선으로 지정되었다.[5] 1990년 8월 22일에는 도로명을 '''일주도로'''로 지정하였다.[8]

1977년부터 2005년까지 도로 개선 사업이 꾸준히 진행되어 여러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구간이 폐지되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1977년 10월 6일북제주군 한림읍 귀덕리 120m 구간 개통, 기존 110m 구간 폐지
1980년 8월 20일남제주군 표선면 표선리 1.849km 구간, 남제주군 대정읍 상모리 ~ 동일리 960m 구간, 남제주군 대정읍 인성리 900m 구간, 북제주군 한경면 두모리 ~ 신창리 1.7km 구간, 북제주군 한경면 고산리 1.14km 구간, 북제주군 애월면 애월리 210m 구간 개통, 기존 총 7.29km 구간 폐지[6]
1980년 10월 30일남제주군 중문면 회수리 ~ 색달리 3.2km 구간 개통, 기존 2.88km 구간 폐지[7]
1994년 1월 20일남제주군 성산읍 오조리 ~ 고성리 2.02km 구간 개통 및 기존 2.17km 구간 폐지[9], 남제주군 성산읍 시흥리 1.45km 구간 개통 및 기존 1.65km 구간 폐지[10], 북제주군 구좌읍 평대리 ~ 하도리 2.4km 구간 개통[11], 북제주군 조천읍 신촌리 ~ 북촌리 6.2km 구간 개통 및 기존 7.5km 구간 폐지[12]
1996년 5월 20일애월우회도로(북제주군 애월면 애월리) 1.8km 구간 개통, 기존 2.1km 구간 폐지[13]
1996년 6월 5일하귀우회도로(북제주군 애월면 하귀리) 1.35km 구간, 고내우회도로(북제주군 애월면 고내리) 550m 구간 개통[14]
1999년 5월 1일북제주군 한림읍 대림리 ~ 월령리 9.3km 구간 개통[15]
2000년 3월 22일남제주군 안덕면 덕수리 ~ 화순리 2.5km 구간 개통[16]
2002년 12월 31일성산 ~ 표선간 도로((남제주군 성산읍 고성리 ~ 신천리) 11.75km 구간과 (표선면 하천리 ~ 표선리) 4.6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3.75km 구간 폐지
2005년 11월표선 ~ 남원간 도로(남제주군 표선면 세화리 ~ 남원읍 남원리) 총 3.7km 구간 개통, 기존 지정 구간 폐지[17]


  • 2007년 1월 26일: '''지방도 제1132호 제주제1우회선 (일주도로)''' 노선이 지정되었다.[18]
  • 2008년 11월 17일: 기존 국도 제12호선이 폐지되었다.[19]
  • 2015년 3월 20일: 조천우회도로(제주시 조천읍 신촌리 ~ 구좌읍 동복리) 11.5k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10.7km 구간은 폐지되었다.[20]

2. 1. 국도 제12호선 시절

1971년 8월 31일,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12호선 제주우회선으로 지정되었다.[5] 1990년 8월 22일에는 도로명을 '''일주도로'''로 지정하였다.[8]

1977년부터 1999년까지 도로 개선 사업이 꾸준히 진행되어 여러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구간이 폐지되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1977년 10월 6일북제주군 한림읍 귀덕리 120m 구간 개통, 기존 110m 구간 폐지
1980년 8월 20일남제주군 표선면 표선리 1.849km 구간, 남제주군 대정읍 상모리 ~ 동일리 960m 구간, 남제주군 대정읍 인성리 900m 구간, 북제주군 한경면 두모리 ~ 신창리 1.7km 구간, 북제주군 한경면 고산리 1.14km 구간, 북제주군 애월면 애월리 210m 구간 개통, 기존 총 7.29km 구간 폐지[6]
1980년 10월 30일남제주군 중문면 회수리 ~ 색달리 3.2km 구간 개통, 기존 2.88km 구간 폐지[7]
1994년 1월 20일남제주군 성산읍 오조리 ~ 고성리 2.02km 구간 개통 및 기존 2.17km 구간 폐지[9], 남제주군 성산읍 시흥리 1.45km 구간 개통 및 기존 1.65km 구간 폐지[10], 북제주군 구좌읍 평대리 ~ 하도리 2.4km 구간 개통[11], 북제주군 조천읍 신촌리 ~ 북촌리 6.2km 구간 개통 및 기존 7.5km 구간 폐지[12]
1996년 5월 20일애월우회도로(북제주군 애월면 애월리) 1.8km 구간 개통, 기존 2.1km 구간 폐지[13]
1996년 6월 5일하귀우회도로(북제주군 애월면 하귀리) 1.35km 구간, 고내우회도로(북제주군 애월면 고내리) 550m 구간 개통[14]
1999년 5월 1일북제주군 한림읍 대림리 ~ 월령리 9.3km 구간 개통[15]


2. 2. 지방도 제1132호선 시절


  • 2007년 1월 26일: '''지방도 제1132호선 제주제1우회선 (일주도로)''' 노선이 지정되었다.[18]
  • 2008년 11월 17일: 기존 국도 제12호선이 폐지되었다.[19]
  • 2015년 3월 20일: 조천우회도로(제주시 조천읍 신촌리 ~ 구좌읍 동복리) 11.5k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10.7km 구간은 폐지되었다.[20]

3. 주요 경유지

지방도 제1132호선(일주도로)은 제주시서귀포시를 순환하는 도로이다. 순환 노선이므로 기점과 종점 구분이 명확하지 않으나, 편의상 지방도 제1131호선과 만나는 광양사거리를 기준으로 삼아 주요 경유지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 제주시 구간은 광양사거리에서 시작해 주요 지역 및 관광지를 경유하여 다시 광양사거리로 돌아온다.
  • 서귀포시 구간성산읍 시흥 교차로에서 시작해 표선면, 남원읍을 거쳐 서귀포시내를 관통하고, 대정읍, 안덕면을 지나 제주시로 이어진다.

3. 1. 제주시 구간

이도동 광양사거리에서 시작하여 동광양교, 제주동부경찰서, 제주문예회관을 지나 문예회관앞 교차로에 이른다. 일도동 인제사거리를 지나 건입동에서는 국립제주박물관 교차로와 국립제주박물관을 지난다.

화북동에서는 제주대학교 사라캠퍼스, 별도교, 오현중학교, 오현고등학교, 화북초등학교, 화북남문입구 교차로, 삼양교를 거친다. 삼양동에서는 삼양교, 삼양검은모래해변입구 교차로, 삼양검문소 교차로를 지나간다.

조천읍에서는 진드르, 인수물 교차로, 사리탑 교차로, 뱅듸왓 교차로, 혹통 교차로, 큰백 교차로, 함덕 교차로, 북촌서 교차로, 높은물 교차로, 하원 교차로, 북촌동 교차로를 경유한다.

구좌읍에서는 동복리, 동복입구 교차로, 김녕입구 교차로, 김녕리 교차로, 김녕중학교앞 교차로, 김녕리사거리, 김녕입구 교차로, 만장굴입구 교차로, 월정리 교차로, 입수 교차로, 행원 교차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동 교차로, 한동초등학교, 평대초교앞 교차로, 평대초등학교, 갓머리삼거리, 구좌읍사무소, 세화중학교앞 교차로, 세화중학교, 세화리 교차로, 세화고입구 교차로, 면수동삼거리, 하도초등학교, 하도입구 교차로, 창흥 교차로, 종달 교차로, 종달1 교차로, 중동 교차로를 지난다.

한경면에서는 고산4 교차로, 고산3 교차로, 고산2 교차로, 고산1 교차로, 쑥구메 교차로, 용수 교차로, 용당 교차로, 신흥삼거리, 신창사거리, 두모삼거리, 금등리, 판포삼거리, 판포리, 월령교를 거친다.

한림읍에서는 월령교, 월령삼거리, 새못사거리, 금능사거리, 협재사거리, 명월사거리, 명월 교차로, 동명리, 한림리, 한대교, 대림사거리, 용운삼거리, 귀덕새마을금고앞 교차로, 귀덕1리 교차로, 귀덕사거리, 금성교를 지난다.

애월읍에서는 금성교, 금성사거리, 곽지사거리, 애월입구삼거리, 애월사거리, 애월입구 교차로, 애월읍사무소, 애월체육관, 애월고교앞 삼거리, 애월고등학교, 고내리 교차로, 신엄 교차로, 신엄중학교, 구엄초교앞 교차로, 구엄초등학교, 구엄 교차로, 구엄교, 하귀입구 교차로, 가문동입구 교차로, 봉천2교, 미수2교, 하귀입구 교차로, 하귀교, 관전동 교차로, 조부교를 거친다.

외도동에서는 조부교, 외도1동, 외도초등학교, 외도교, 내도동을 지나간다. 이호동에서는 이호테우해변입구 교차로, 이호2동, 탐라민속관을 거치며, 도두동에서는 도두동입구 교차로를 지난다.

노형동에서는 오일장 교차로, 연동에서는 오일장 교차로, 제주서중학교, 제주시산림조합, 신광사거리, 신제주입구 교차로를 경유한다. 오라동에서는 오라오거리, 동산교, 종합경기장입구 교차로, 제주시외버스터미널, 오라교를 지나간다.

삼도동에서는 오라교, 서사라사거리, 광양교를 지나, 이도동 광양사거리로 돌아온다.

3. 2. 서귀포시 구간

성산읍 시흥 교차로 - 시흥리 - 송내 교차로 - 성산국민체육센터 - 성산고교입구 교차로 - 제주동부소방서 - 오조 교차로 - 고성리 - 고성 교차로 - 성산 교차로 - 일출고성운동장 - 성산중학교 - 성산읍사무소 - 신양 교차로 - 상동 교차로 - 온평초등학교 - 온평 교차로 - 난산 교차로 - 신산 교차로 - 신산초등학교, 신산중학교 - 서동 교차로 - 삼달 교차로 - 신풍 교차로 - 신천리 교차로 - 평화교

4. 도로 구성

지방도 제1132호선은 일부 구간에서 다른 도로와 중복된다. 제주시 노형동 어승생삼거리 ~ 노루생이삼거리 구간은 지방도 제1117호선과 중복되며, 제주시 연동 신광사거리 ~ 오라동 오라오거리 구간은 지방도 제1139호선과 중복된다.

4. 1. 도로명

4. 2. 중복 구간

제주시 노형동 어승생삼거리 ~ 노루생이삼거리 구간은 지방도 제1117호선과 중복되며, 제주시 연동 신광사거리 ~ 오라동 오라오거리 구간은 지방도 제1139호선과 중복된다.

참조

[1] 뉴스 국도없는 제주 실효성 논란 http://jeju2.daum.ne[...] Daum 제주뉴스 2008-08-01
[2] 뉴스 정부, 제주도 지방 SOC 투자사업 홀대 http://www.jemin.com[...] 제민일보 2008-11-06
[3] 뉴스 구국도를 국도로 환원되어야 하는 이유 http://www.jejunews.[...] 제주일보 2008-11-15
[4] 뉴스 ‘국도환원’ 성사 어려울 듯 http://www.jejutimes[...] 제주타임스 2008-12-15
[5] 간행물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08-31
[6] 간행물 제주개발건설사무소공고 제54호, 제55호 http://theme.archive[...] 1980-08-20
[7] 간행물 제주개발건설사무소공고 제74호, 제75호 http://theme.archive[...] 1980-10-30
[8] 간행물 제주도공고 제2350호 http://www.jeju.go.k[...] 제주도보 제445호 1990-08-22
[9] 간행물 제주개발건설사무소공고 제1994-1호 http://theme.archive[...] 1994-01-20
[10] 간행물 제주개발건설사무소공고 제1994-2호 http://theme.archive[...] 1994-01-20
[11] 간행물 제주개발건설사무소공고 제1994-3호 http://theme.archive[...] 1994-01-20
[12] 간행물 제주개발건설사무소공고 제1994-4호 http://theme.archive[...] 1994-01-20
[13] 간행물 제주개발건설사무소공고 제1996-4호 http://theme.archive[...] 1996-05-20
[14] 간행물 제주개발건설사무소공고 제1996-6호, 제1996-7호 http://theme.archive[...] 1996-06-05
[15] 간행물 제주개발건설사무소공고 제1999-23호 http://theme.archive[...] 1999-06-02
[16] 간행물 제주개발건설사무소공고 제2000-6호 http://theme.archive[...] 2000-03-29
[17] 간행물 제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5-59호, 제2005-60호 http://www.jeju.go.k[...] 2005-11
[18] 간행물 제주특별자치도공고 제2007-109호 http://www.jeju.go.k[...] 2007-01-26
[19] 간행물 대통령령 제21124호 일반국도 노선 지정령 http://www.law.go.kr[...] 2008-11-17
[20] 간행물 제주특별자치도공고 제2015-317호 http://www.jeju.go.k[...] 2015-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